728x90 반응형 SMALL 코로나193 2024년 1월, 급성 호흡기 감염증 유행 현황 및 대응 전망 2024년 1월의 첫 주간 표본감시 소식지를 통해 들어온 정보에 따르면,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입원한 환자 중 코로나19 양성자 비율이 3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인플루엔자로 의심되는 환자 수도 전주 대비 소폭 상승하여 이번 절기 유행 기준의 7배를 넘었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데이터에 따르면, 급성 호흡기 감염증 입원환자 2831명 중 코로나19 양성자가 859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른 감염체들 중에서는 인플루엔자가 818명(28.9%)으로 뒤를 이었으며, 호흡기 세포융합바이러스, 리노 바이러스,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등이 순차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로나19 관련 특이점 코로나19 중증 환자 가운데 65세 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 연령대의.. 2024. 1. 14. 급증하는 독감 환자와 트윈데믹에 대한 우려 요즘 들어 독감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질병관리청의 통계에 따르면 최근의 독감 의심 환자 수치가 예년과 비교했을 때 놀랍게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지난달 23~29일 사이에 외래환자 1000명 당 9.3명이 독감 의심 증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직전 주에 비해 22.4% 증가한 수치로, 올 들어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이러한 독감의 급증은 코로나19와 함께 발생할 경우 '트윈데믹'으로 불리며, 이에 대한 우려도 크게 높아지고 있습니다. 두 질병이 동시에 급증하면서 건강에 민감한 고령자, 어린이, 임신부, 폐·심장질환자,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 등은 더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독감과 코로나19의 유사점과 차이점 독감과 코로나19는 많은 증상이 유사하여, 일상에서는 .. 2024. 1. 9. 마이코플라스마 페렴 원인, 치료, 예방 정부는 최근 소아를 중심으로 인플루엔자,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등 호흡기 감염병이 유행하자 범정부 차원의 대책반을 구성해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8일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교육부 등이 참여하는 '호흡기감염병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을 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지영미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통해 확진자 수 증가에 따른 병상 및 치료제 수급 상황을 매주 점검하고, 전문가들과 함께 일선 의료현장에 진료지침을 보급하는 등 방역 대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종합상황실과 함께 '호흡기감염병대책반'을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마이코플라스마 페렴은 마이코플라즈마라는 세균이 원인인 폐렴의 한 .. 2023. 12. 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